| 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 *도서명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부자되는<현공풍수>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야기<수정증보판>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지은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김 교 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발행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도서출판 한솜미디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쪽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 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448쪽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 형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신A5(신국판)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정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 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22,000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출판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2011년 7월 15일    <홈으로 
가기>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ISBN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 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8-89-5959-274-6 13180 
 
  | 
   |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
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이 
                        책은?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공인중개사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법무사, 일반국민, 역학인 등의 필독서로 풍수지침서이다!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보이지 않는 기(氣)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시기별 1에서 9까지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숫자 조합에 의해 길흉화복과 좋은 건물을 판단하는 대만, 중국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홍콩, 싱가포르, 미국, 유럽에서 유행중인 최고의 현공풍수이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생활에서 적중률이 가장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높은 현공풍수를 소개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무릇 사람에게는 사람사주가, 건물에는 건물사주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부자, 사업, 출세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명예, 승진, 시험 등에 맞는 건물을 선택하는 비법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개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
 |  
              
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책속으로..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1. 나경이란?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나경(羅經)은 <포라만상(包羅萬象)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륜천지(經倫天地)>에서 나(羅)와 경(經)을 따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붙인 이름이다. 포라만상은 우주의 삼라만상을 포함한다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뜻이고, 경륜천지는 하늘과 땅의 이치를 다스린다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뜻이다. 나경을 허리에 차고 다닌다하여 <패철>이라고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고 <윤도>라고도 한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풍수에서는 용(龍)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혈(穴), 사(砂), 수(水), 향(向)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(吉)한 방위와 흉(凶)한 방위의 판별에 사용하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구이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○ 용(龍) : 생동하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산이나 능선 또는 산맥을 용이라 한다. 좌우로 굴곡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있고 상하로 기복이 있어 마치 용이 꿈틀거리는 듯하게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려온다 하여 용이라 한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○ 혈(穴) : 풍수에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생기가 산줄기를 타고 내려오다 그 흐름이 응결된 곳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혈이라 한다. 한의학에 비유하면 맥은 경락이고 혈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혈이다. 혈 주위를 혈장(당판)이라 한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○ 사(砂) : 혈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심으로 전후좌우에 있는 산봉우리를 뜻한다. 북현무/남주작/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좌청룡/ 우백호 등 사신사와 이들 주변에 있는 산봉우리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포함한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○ 수(水) : 물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말하는데 물이 들어오는 곳을 득수(得水)라 하고, 물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가는 곳을 파구(破口)라 하며, 물은 꾸불꾸불하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천천히 오고 나가는 것이 좋다. 물론 깨끗하고 깊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물이 좋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○ 향(向) : 용맥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들어오는 방위를 좌(坐)라 하고, 나가는 방위는 향(向)이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건물에서는 건물의 뒤가 좌이고, 앞이 향이다. 시신이라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머리 두는 방향이 좌이고, 다리 방향이 향이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즉 다시 말하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경은 풍수에서 방위를 보는데 쓰는 기구인데 이기풍수인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삼합풍수내지 현공풍수에서는 주로 양택/음택의 좌향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다. 풍수이기론(방위론)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밀한 방위측정이 필수선결과제이므로 세분화된 방위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밀하게 표현되어 있어야 한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<이하 생략>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- <제4장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경(패철) 이해하기>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에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|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출판사 
                        서평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- 실생활에서 사용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 있는 학문으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풍수학 시작하기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알기 쉬운 오행· 나경(패철) 이해하기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하도와 낙서·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우주의 본질 ·사주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공풍수의 비교· 현공애성도(택명반) 작성법·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현공풍수의 4국·애성법중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와 겸괘의 구분·성문법· 지운 계산법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복음과 반음 및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삼반괘 등 · 대문방위· 건물의 좋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층수 찾기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현공자백결의 비밀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공자백결 81조의 동궁비성의 길흉해석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건물이나 대지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한 조언· 현공풍수의 검정· 현공풍수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맥·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삼합풍수 뛰어넘기(1)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삼합풍수 뛰어넘기(2) : 최고의 풍수전문가 되기(1)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지도와 현장검증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통한 혈 찾기: 최고의 풍수전문가 되기(2)·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구성학 기초핵심비결·육효학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초핵심비결·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현공풍수연구회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명법 등을 26장에 걸쳐 자세히 소개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|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이 
                        책의 차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머리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_ 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장 ․ 책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작하면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목적에 맞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생기가 넘치는 좋은 건물을 찾아라 1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장사와 출세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두 잘 되는 건물: 주거용 및 상업용 모두에 최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장사만 잘 되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건물: 가게/상가 등 상업용에 최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출세만 잘 되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건물: 주거용에 최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) 장사도 출세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잘 안 되는 건물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) 출세와 장사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커녕 절대 거주해서는 안 되는 건물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필자의 사주팔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개 2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2장 ․ 풍수학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작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풍수학의 목적        3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풍수학의 역사        3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당나라 시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2) 송나라 시대 3) 명나라 시대 4) 청나라 시대 5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근대사와 요즈음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3장 ․ 알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쉬운 오행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오행이란     4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오행의 종류  48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오행의 상생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극   48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. 천간과 지지  4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4장 ․ 나경(패철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해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나경이란?    5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나경의 역사  5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나경의 구조  5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나경의 방위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도 이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-나경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산향 및 각도 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현공풍수에서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장 피하는 대공망 / 소공망 이야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공망  ② 소공망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. 어떤 종류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경을 구할까?   6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. 나경으로  좌향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측정시 주의점 6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6. 좌향 측정법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7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음택의 측정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2) 양택의 측정  3) 양택의 세부 좌향 측정법(실습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5장 ․ 하도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낙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하도(河圖)   7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낙서와 구궁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      7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6장 ․ 우주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본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구성의 운행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8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구성이란?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구성의 비행(순행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구성의 비행(역비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현공풍수의 운        92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사주팔자의 대운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년 주기로, 현공풍수의 대운은 20년 주기로 변한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7장 ․ 사주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공풍수의 비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사주와 현공풍수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교(사람에게는 사람사주, 건물에는 건물사주가 있다)95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자백구성의 왕생퇴살  9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당령성 2) 실운성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3) 생기성 4) 퇴기성 5) 살기성 6) 사기성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8장 ․ 현공애성도(택명반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성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24좌향(=산향)        10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24개 방위도 도표/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산향의 음양 및 순, 역행표/ 각 소운별 5황토성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체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택명반 작성법        108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택명반 작성 순서/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필자의 가게 감정/ 테헤란로 주변의 풍수 감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9장 ․ 현공풍수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4국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4국의 구분   12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기본 4국의 형태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된 용도  122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왕산왕향(旺山旺向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명: 8운의 사좌해향(巳座亥向) 소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상산하수(上山下水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명: 8운의 진좌술향(辰坐戌向) 소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쌍성회향(雙星會向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명: 8운의 묘좌유향(卯坐酉向) 소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) 쌍성회좌(雙星會座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명: 8운의 오좌자향(午坐子向) 소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0장 ․ 애성법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 하괘와 겸괘의 구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하괘 13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겸괘 및 체괘법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언제 겸향체괘를 사용하는 경우?       13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체괘 하는 방법       13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겸향체괘 대체구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겸향 체괘 적용방법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8운의 진좌술향(辰坐戌向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1장 ․ 성문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성문의 형태  14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성문의 이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미좌축향(未坐丑向)의 성문 구하기       14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각 운별 성문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-사례) 정성문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성문을 모두 쓸 수 있는 경우의 예: 8운의 미좌축향(未坐丑向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2장 ․ 지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산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지운계산법   15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8운의 축좌미향(丑坐未向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 계산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* 참고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큰 터의 지운계산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* 팁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쌍성회향(雙星會向)의 지운계산법: 8운의 자좌오향(子坐午向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3장 ․ 복음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반음 및 삼반괘 등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복음이란?    15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8운의 복음좌향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간좌곤향(艮坐坤向), 인좌신향(寅坐申向), 곤좌간향(坤坐艮向),신좌인향(申坐寅向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반음이란?    16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팔순괘란?    16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. 전국합십국   16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8운의 전국합십국:축좌미향(丑坐未向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/겸괘), 미좌축향(未坐丑向 하괘/겸괘), 자좌오향(子坐午向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겸괘), 오좌자향(午坐子向 겸괘), 계좌정향(癸坐丁向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겸괘), 정좌계향(丁坐癸向 겸괘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. 삼반괘란?    16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연주삼반괘     16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부모삼반괘     16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타겁삼반괘     16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4장 ․ 대문방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대문방위 내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법   17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대문방위 내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법 실습      175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예1) 7운, 축좌미향(丑坐未向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 건물의 대문 방위 확인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예2) 8운, 미좌축향(未坐丑向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와 자좌오향(子坐午向) 하괘 건물이 교차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예3) 7운, 곤좌간향(坤坐艮向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 주택의 대문 방위 확인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예4) 7운, 임좌병향(壬坐丙向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의 8운에 최적 대문 세우기※ 8운의 최고 좌향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람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5장 ․ 건물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좋은 층수 찾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어떻게 좋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층수를 찾는가?   18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2006년은 병술(丙戌)년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좋은 층수 찾기       18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2층/칸(화火)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재물과 출세가 보장되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5층/칸(토土)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정이 발달하여 사업이 발전하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3층/칸(목木)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재운이나 사업이 나날이 쇠퇴하여 지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1층/칸(수水)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뜻밖의 재앙이나 관재구설에 휩싸이기 쉽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4층/칸(금金)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흉이 된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6장 ․ 현공자백결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현공자백결이란?      18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9성의 생왕/퇴살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과 의미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8운의 임좌병향(壬坐丙向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괘의 건물 길흉 분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<택명반>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 궁의 특별한 산성과 향성의 숫자 조합에 대한 설명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길한 조합:   19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<1 4>조합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업/시험에 길한 수의 조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<1 6>조합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승진에 길한 수의 조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<6 8>조합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험합격/재물획득에 길한 수의 조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<8 9>조합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동산 취득/결혼/출산에 길한 수의 조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 흉한 조합:    19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<6 7>조합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<3 2>조합, <3 7>조합, <9 7>조합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<2 5>조합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7장 ․ 현공자백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조의 동궁비성의 길흉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현공자백결 동궁비성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해석은 어떻게 하는가?      19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1백수성(一白水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2흑토성(二黑土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3벽목성(三碧木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) 4록목성(四綠木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) 5황토성(五黃土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6) 6백금성(六白金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7) 7적금성(七赤金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8) 8백토성(八白土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9) 9자화성(九紫火星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흉 해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8장 ․ 건물이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지에 관한 조언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양택 풍수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5실 5허  22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주위환경에 관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터의 고찰    22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집터와 가상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한 고찰      22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19장 ․ 현공풍수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검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청말의 현공풍수사인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심소훈 선생의 사례 검정  23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화재로 막대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손해를 본 사례 23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향궁에 반음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을 범한 사례   23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20장 ․ 현공풍수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맥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수맥파의 이해        24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수맥이 질병발생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인이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첫째: 수면에 장애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생긴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둘째: 인체의 호르몬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분비에 이상이 발생한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셋째: 암에 대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저항력을 약화시킨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넷째: 생체리듬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란을 일으킨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수맥과 잠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하여   24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수맥탐사법   252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기본자세 및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육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팬드륨 기본자세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   ․ L-Rod 기본자세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수맥의 방향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및 폭 알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수맥탐사실습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) 탐사 및 탐사수맥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성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) 수맥도 작성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21장 ․ 삼합풍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뛰어넘기(1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기존풍수와 현공풍수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교   26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풍수의 기초  26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포태법(胞胎法)       26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쌍산오행(雙山五行)   26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) 삼합풍수 뛰어넘기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경/패철 사용법 27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1층(팔요황천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위 표시됨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2층(팔요살 방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시됨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3층(삼합오행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삼합이기풍수의 골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4층(지반정침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건물좌향, 용맥입수 측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5층(천산72룡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6층(인반중침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주변사 측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7층(투지60룡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용맥의 생기의 이기를 밝힌 층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8층(천반봉침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물과 묘(墓)의 좌향(坐向)을 측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9층(120분금) 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신의 방향을 틀어 발복을 빠르게 하기 위한 방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22장 ․ 삼합풍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뛰어넘기(2) : 최고의 풍수전문가 되기(1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삼합풍수기초(계속)   27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삼합오행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풍수의 4국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좋은 터 찾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) 좌향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) 묘터의 감결순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회두극좌     28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회두극좌 찾는법: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표에서 찾는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택일하는 방법        28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. 하관시간 정하기      29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. 묘이장 ․ 사초시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하기     29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6. 회도살 찾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법     29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23장 ․ 지도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장검증을 통한 혈 찾기: 최고의 풍수전문가 되기(2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지도를 이용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장 찾기      29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A. 지도를 통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정지 검토: 지도 준비   29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지도에 용맥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린다 29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예정혈 부근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검토사항       29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(1) 형기적인 사항       29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호롱박 형태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고선을 찾는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용맥의 끝가지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검토한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자연순행인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확인한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(2) 이기적인 사항       29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용이나 외당수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내당수를 결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물이 나가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구를 보고 풍수의 4국을 결정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) 용과 향과 파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 검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) 천간파의 5분금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잡는다(최고 길함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B. 현장에서‘혈’검토   29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혈장이 위치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산 등 내룡의 형기를 검토     29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혈장 주변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산세를 살펴서 장풍이 되었는지를 확인     295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혈장에서 나경(패철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8층으로 파를 보고 국을 결정    29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. 혈장의 내룡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입수를 나경4층으로 측정하여 이기(理氣)를 감정 296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5. 득수는 형상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좋고, 이기도 맞아야 함 29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6. 주변 사(沙)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형상과 이기를 살펴 감정: 나경 6층 측정 29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7. 혈장의 좌향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판단하고, 파에 맞추어 길흉을 감정      29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최고의 자리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찾기 및 소개     29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위치 : 경기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용인시 남사면 창리(지도 첨부)  29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) 총괄(總括)   30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(1) 현공풍수    30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8운에 갑좌경향(甲坐庚向)시 <쌍성회좌(雙星會座)>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②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8운에 손좌건향(巽坐乾向)시 <왕산왕향(旺山旺向)>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(2) 삼합풍수    30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목국(木局), 내당 우선/외당 우선의 자연순행이며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묘파(卯破)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   정파(丁破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5분침을 놓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 ②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갑룡(甲龍)의 상격용인 장생룡(長生龍)으로, 좌향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손좌건향(巽坐乾向)인 정생향(正生向)을 놓는 터  →삼합풍수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공풍수로 정확하게 손좌건향(巽坐乾向)을 잡으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재물흥왕에 최고의 인물이 배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풍수적 감결(風水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監訣)     30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가. 내룡        30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(1) 태조산(太祖山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중조산(中祖山) - 소조산(小祖山: 主山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(2) 사신산(四神山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) 주산(主山)  2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청룡, 백호  3) 안산   4) 조산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나. 정혈 : 목국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우선수 정생향 손좌건향 (木局 右旋水 正生向 巽坐乾向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다. 사(砂)      30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(1) 임관봉(臨官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: 壬子)   (2) 삼길육수(三吉六水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라. 수(水)      303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마. 좌향결정(坐向決定)  30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. 혈처(穴處)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감결(監訣): 재물흥왕에 최고의 인물이 배출       304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 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제24장 ․ 구성학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초핵심비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1. 구성학 기초이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및 소개 목적 307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2. 본명성 구하기        309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본명성 확인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3. 월명성 구하기        31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․ 월명성 확인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4. 구성기의 길․흉       311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  |